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첫 번째 주제는 '롤러코스터', 강기정 정무수석의 모습이 나오는데요. 놀이기구라고 탔습니까? <br><br>놀이기구를 탄 건 아니고요, 감정의 롤러코스터입니다. <br> <br>-밑그림: 노영민-김정재 설전 어제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자유한국당 김정재 의원과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이 설전을 벌입니다. <br> <br>#영상: 어제, 국회 운영위원회 <br>김정재 / 자유한국당 의원 <br>말 힘들게 하지 마세요. 대통령 닮아 가십니까? <br><br>노영민 / 대통령비서실장 <br>무슨 말을 그렇게 하십니까? 대통령 닮아간다는 게 무슨 말입니까? <br><br>지금 보시는 것처럼 노영민 실장은 심각한데, 바로 뒤에 앉은 강기정 정무수석, 웃음을 참지 못하고 쓰러졌다가 잠시 뒤 다시 일어납니다. <br><br>Q. 노영민 실장은 상당히 격앙돼 있는데, 바로 뒤에 있는 정무수석이 저렇게 웃어도 되는 건가요? <br><br>그게 미안해서였을까요? 회의 막판에 강기정 수석이 돌변합니다. <br> <br>#영상<br>나경원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(어제, 청와대 국정감사) <br>우리 지금 미사일 체계로 막을 수 있다고요? <br> <br>정의용 / 국가안보실장 <br>막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나경원 / <br>그렇게 우기시지 말고요. 우기시지 말고…. <br> <br>강기정 / 청와대 정무수석 <br>아니, 표현을 그렇게…. 왜 위원장은! 답변을 우기다가 뭐예요? <br> <br>나경원 / <br>강기정 수석! <br> <br>강기정 / <br>우기다가 뭐예요! 우기다가 뭐예요! 우기다가 뭐냐고! <br>내가 증인이야! 우기다가 뭐요, 우기다가! <br><br>Q. 아까 뒤에서 웃었던 분 맞죠? 같은 회의구요? 정말 돌변했다는 표현이 딱 들어맞는네요. <br><br>강기정 정무수석이 자기에게 질문한 것도 아닌데, 갑자기 뒤에서 일어나 소리를 지르는 바람에 청와대 국감이 한 시간동안 중단되는 사고가 났습니다. <br> <br>정무수석이라고 하면 청와대와 여야 사이를 오가면서 소통하는 게 주요업무인데요, <br><br>사실 강기정 수석, 예전부터 국회 내에서 폭언과 폭력 사태의 중심에 있었죠. <br> <br>가장 유명한 폭력 사건은 지금 보시는 영상인데요. 2010년 12월 예산안 처리 과정에서 여야간 몸싸움이 벌어졌습니다. 그때 강기정 당시 민주당 의원과 김성회 한나라당 의원이 주먹다짐을 했는데요, 화가 난 강기정 의원, 애꿎은 국회 경위의 뺨을 여러 차례 때려 큰 논란이 됐었습니다. <br><br>Q. 18대 국회가 최악의 동물국회로 평가받은 게 저 사건 때문 아닌가요? <br><br>맞습니다. 이 사건 이후로 국회선진화법이 만들어지는 계기가 됐는데요, <br> <br>강 의원은 이후 2016년 총선 때 공천을 받지 못했습니다. 그때 과거 파란만장한 의정활동을 떠올리며 눈물을 쏟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#영상: 강기정 / 당시 민주당 의원 (2016년 2월) <br>한번은 이 종편 반대한다고 싸움이 나서 제가 벌금 500만 원을 받았습니다. 또 한번은 4대강 저지한다고, 마스크법 저지한다고… 죄송합니다.<br><br>강기정 수석이 의원으로서 내놓은 마지막 해명은 야당 입장에선 다른 방법이 없었다는 겁니다. 그때의 마음으로 지금의 야당을 만나면 어떨까요. <br><br>Q. 좋게 보면 감정의 폭이 넓다고도 할 수 있을 텐데, 남을 이해하는 모습도 기대해 보겠습니다. 다음 주제로 넘어가보겠습니다. 한국당을 탈당하고 정의당에 입당을 했어요. 이자스민 전 의원. 이 전 의원이 불러온 '나비효과', 이게 주제인가요? <br><br>맞습니다. 이자스민 전 의원, 이주여성으로는 최초의 국회의원인데요, <br><br>2011년 다문화가정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 '완득이'에 출연하면서 널리 얼굴을 알렸었죠. <br> <br>이듬해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됐지만,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습니다. <br><br>이주여성이란 점 때문에 각종 사이버테러에 시달려야 했습니다. <br> <br>#영상: 이자민 / 당시 새누리당 비례대표 당선자 (2012년 4월) <br>가장 많이 걱정을 하는 게 다른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오히려 이 일로 인해서 많이 상처를 받게 될까봐… <br><br>Q. 이 전 의원이 한국당을 탈당했습니다. 그것도 정의당으로 옮겼는데요, 그 이유가 뭘까요? <br><br>저도 그게 제일 궁금해서 오늘 하루 종일 전화통화를 시도했는데, 전화가 연결되진 않았습니다. <br> <br>다만 다문화가정 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 아무래도 정의당이 더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흥미로운 건 이 전 의원이 정의당을 선택하자 한국당은 물론, 민주당까지 그 불똥이 튀었습니다. <br><br>민주당 금태섭 의원은 오늘 페이스북에 민주당이 먼저 이 전 의원을 데려오지 못한 게 안타깝다, 진보적 가치를 놓쳤다, 이렇게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그러자 민주당 지지자들은 금태섭 의원을 향해 당신도 정의당으로 가라, 이런 비난을 쏟아냈습니다. <br><br>Q. 한국당 분위기는 어떤가요? <br><br>한국당 입장에선 이틀 전 외부인사 8명을 영입했는데, 그것보다 한 명이 탈당한 게 더 주목받으니 씁쓸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. <br><br>오늘 장제원 의원은 이자스민 전 의원 탈당을 두고 인재를 일회성으로 소비한 게 아닌지, 반성해야 한다, 이렇게 쓴소리를 했습니다. <br> <br>더욱이 청년 영입인사인 백경훈 '청년이 여는 미래' 대표가 신보라 자유한국당 청년 최고위원 비서의 남편인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백 대표는 조국 전 장관 반대 집회 당시 이런 발언으로 화제를 모았었죠. <br> <br>#영상: 백경훈 / '청년이 여는 미래' 대표 <br>저에게는 조국 같은 아버지가 없습니다. 그래서 저는 용이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알고 보니 신보라 의원과의 친분으로 용이 된 것 아니냐, 이런 비판이 나오는 겁니다. <br> <br>이자스민 전 의원 탈당을 보면서 인재영입보다 인재관리가 더 중요한 게 아닌가,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. <br><br>Q. 있을 때 잘하라는 건 남녀 사이에만 통용되는 얘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. 네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